라이젠 CPU 게임 최적화란?
3XXX 이전 라이젠 CPU는 게임에서 렉 현상이 심해 윈도우 일부 설정을 변경해야 했습니다. 현재 판매 중인 5XXX 시리즈 이상 제품들의 경우는, 성능이 많이 좋아져 필 수보다는 권장입니다.
![]() |
라이젠 게임 최적화 방법 |
라이젠 CPU 게임 최적화 1! 고정밀 타이머 (3XXX 이하)
라이젠 CPU를 사용 중인 PC는 고정밀 타이머(High Precision Event Timer, HPET) 설정을 조절해 게임 상 렉을 줄일 수 있다고 권장했었습니다. 변경하는 방법은 아주 간단합니다.
설정 방법
CMD 관리자 모드 실행 → `bcdedit /set useplatformclock false` 입력 후 엔터 → 완료
![]() |
CMD 관리자 권한 실행 |
![]() |
명령어 입력 후 엔터! |
라이젠 CPU 게임 최적화 2! 전원 설정 (라이젠 공통)
구형과 신형 라이젠 뿐만 아니라 인텔 CPU에서도 설정하는 것을 권장합니다.
설정 방법
제어판 → 전원 설정 → 전원 옵션 고성능 선택 → 완료
![]() |
전원 옵션 - 고성능! |
라이젠 CPU 게임 최적화 3! XMP 램 선택! (라이젠 공통)
라이젠은 램 클럭에 따라 성능 차이가 매우 크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. 인텔 CPU는 메모리 대역폭보다 코어 클럭 속도와 캐시 성능에 더 큰 영향을 받는 경우가 많은 반면, 라이젠에서는 고성능 게이밍 램을 통해 아주 큰 성능 향상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.
![]() |
EXPO 지원 램! |
과거 라이젠 2600 혹은 3600과 같은 CPU에서 XMP 혹은 D.O.C.P를 지원하는 램은 게이머라면 필수였고, 7세대와 9세대 라이젠의 경우도 EXPO를 지원해 게임에서 성능을 극대화합니다.
라이젠 세대별 메모리 최적화(선택)가이드
라이젠 3000/5000 시리즈 (DDR4)
DDR4를 사용하는 구형 라이젠에서는 1:1:1 비율 유지가 핵심입니다. FCLK(Fabric Clock), UCLK(Uncore Clock), MCLK(Memory Clock)가 모두 동일한 비율로 작동해야 최적의 성능을 얻을 수 있습니다.
권장 설정
- DDR4 3200MHz → FCLK 1600MHz
- DDR4 3600MHz → FCLK 1800MHz (스위트스팟)
- DDR4 4000MHz → FCLK 2000MHz
FCLK를 수동으로 설정해 1:1:1 비율을 맞춰줍니다.
설정 방법
1. BIOS에서 메모리 클럭 설정
2. FCLK를 메모리 클럭의 절반으로 수동 설정
3. 1:1:1 비율 확인 후 안정성 테스트
라이젠 7000/9000 시리즈 (DDR5)
DDR5를 사용하는 최신 라이젠에서은 다릅니다. AMD는 더 이상 1:1:1 비율 설정보다, FCLK를 자동 설정으로 두는 것을 권장합니다.
권장 설정
- 목표: DDR5 6000MHz CL30
- FCLK 자동 설정 권장
- DDR5 6000MHz 이상에서 자동으로 2:1 모드로 전환
AMD의 공식 EXPO 가이드라인에 따르면, FCLK는 더 이상 메모리 클럭과 동기화되지 않으며, 대부분의 경우 MCLK와 UCLK만 1:1 비율을 유지합니다.
설정 방법
1. DDR5 6000MHz EXPO 프로필 활성화
2. FCLK는 Auto로 설정
3. 안정성 테스트 진행
라이젠이 메모리 클럭에 더 민감한 이유
라이젠 프로세서가 인텔보다 메모리 성능에 더 크게 영향받는 이유는 아키텍처 차이 때문입니다.
라이젠 아키텍처 특징
- CCX/CCD 구조: 여러 코어 클러스터가 Infinity Fabric으로 연결
- Infinity Fabric 의존성: 코어 간 통신이 메모리 클럭과 직결
- 메모리 접근 경로: CCX 위치에 따라 메모리 컨트롤러까지의 지연 시간 차이 발생
- L3 캐시 공유 방식: CCX 간 데이터 교환 시 Infinity Fabric 대역폭에 의존
![]() |
라이젠 아키텍쳐 |
인텔 아키텍처 특징
- 모놀리식 구조: 모든 코어가 하나의 다이에 집중
- 통합된 메모리 컨트롤러: 단일 경로로 메모리 접근
- 링 버스/메시 구조: 내부 통신이 메모리 클럭보다 코어 클럭에 더 의존
- 큰 L3 캐시: 메모리 접근 횟수 자체를 줄여 의존도 감소
따라서 라이젠에서는 메모리 클럭과 레이턴시가 전체 시스템 성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, 인텔은 상대적으로 코어 클럭과 캐시 성능에 더 큰 영향을 받습니다.
참고! 스위트 스팟(Sweet Spot)이란?
스위트 스팟(Sweet Spot)은 특정 환경이나 조건에서 가장 효율적이고 최적의 성능을 낼 수 있는 지점이나 설정을 의미하는 표현입니다.
라이젠 CPU와 램 조합에서 '스위트 스팟'의 의미
최적의 성능과 안정성
특정 램 클럭(예: DDR4 3600MHz 또는 DDR5 6000MHz)에서 라이젠 CPU의 내부 연결망인 인피니티 패브릭(Infinity Fabric)이 가장 효율적으로 작동합니다. 이는 데이터 전송 지연을 최소화하고, CPU 코어가 메모리에 빠르게 접근할 수 있게 해줍니다.
비용 효율성
무조건 높은 스위트 스팟 이상의 클럭에서는 성능 향상이 미미하거나 오히려 불안정해질 수 있습니다. 더 비싼 고클럭 램이 실제 게임 성능 향상 폭은 크지 않을 수 있습니다. 그래서 합리적인 비용에서 최고의 성능 향상을 기대할 수 있는 지점을 지원하는 램과 설정이 "스위트 스팟"입니다.
즉, 라이젠 시스템에서 '스위트 스팟 램'은 안정성과 성능, 그리고 비용까지 고려했을 때 가장 이상적인 램과 클럭 속도를 의미합니다.
예제 해석 및 상태 분석 CPU-Z
현재 메모리 클럭
DRAM Frequency = 2994.2 MHz → DDR5-5988 ~ DDR5-6000
EXPO DDR5-6000 메모리가 제대로 적용된 상태.
UCLK = 2994.2 MHz → MCLK:UCLK = 1:1 유지 중
중요 포인트! AMD Ryzen 7000/9000 시리즈에서 MCLK:UCLK 1:1 유지가 성능에 큰 영향을 줌, 그 상태가 유지되고 있음이 확인!
FCLK 값은 CPU-Z에 표시되지 않음
FCLK(Fabric Clock)는 CPU-Z에 보이지 않지만, EXPO 설정 시 기본적으로 "자동 설정(auto)"으로 동작.
DDR5-6000을 사용할 경우 보통 1800~2000MHz 수준에서 자동 설정됨 (1:2 모드, 비동기)
![]() |
CPU-Z 램 속도 확인 |
결론
라이젠은 세대별로 설정이나 권장이 살짝 다릅니다. 특히 메모리 최적화 설정에서 차이가 큽니다.
- 구형 라이젠 (3000/5000 시리즈): 1:1:1 비율 유지가 핵심
- 최신 라이젠 (7000/9000 시리즈): DDR5 6000MHz에서 FCLK 자동 설정이 최적
- 고정밀 타이머 설정 (구형 라이젠 권장)
- 전원 관리 옵션 - 고성능 선택 (모든 라이젠 권장)
지금까지 라이젠 CPU 게임 최적화를 위한 방법에 대해 알아봤습니다. 크게 어렵지 않은 부분인 만큼 설정 후 게임을 즐겨보시면 차이가 느껴지실 겁니다.